JAVA 진영에서의 ORM 표준 기술인 JPA의 필요성은 여러 자료를 통해 머리로는 대충 알고 있었지만, 영한님 설명을 통해 좀 더 와닿게 되었다 1. 상속 Item 객체를 상속받은 Album 객체를 RDB에 저장할 때 앨범을 필드단위로 분해하여 우측의 ITEM, ALBUM 테이블에 각각 적절하게 저장해주기 위해 INSERT SQL문도 각각 작성하여 두번 날려야 한다 DB에서 ALBUM 객체를 조회할 때는 우측의 ITEM, ALBUM 테이블을 JOIN SQL문으로 묶어주고 그것을 다시 객체로 매핑해준 후 반환한다 이렇게 SQL 의존적이고 복잡한 과정을 피하기 위해 DB에 저장할 객체에는 상속관계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고 한다 2. 연관관계 객체 지향적으로 모델링하는 경우에 저장할 때는 크게 문제가 없다 대..
금요일부터 시작한 주특기 주차에서 전 주차에 비해 갑자기 배우는 내용이 많아졌다보니 정신없으면서도 재밌는 것 같다. 개인과제로 스프링을 활용해 기본 CRUD 기능을 가진 게시판을 만드는 것, 팀 과제로 스프링을 배우면서 중요한 키워드를 정리하는 것을 할당받았다. 이미 알고 있는 내용과 주어진 학습 자료를 십분 활용해 일단 개인과제를 만들기 시작해서 어제(13일)에 기능 구현을 마쳤고, 기술 매니저님 피드백 이후 리팩토링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피드백 받기를 잘한 것 같다. 강의나 자료를 쭉 소화하고 만들기보다는 뭔가 그냥 무작정 만들어보고 싶었다. 빠르게 완성하고 강의자료에서 주어진 예제들을 더 연습하면서 스프링에 익숙해지면 될 것 같다. 1. OOP 기존의 절차 지향적인 개발 방식과는 다르게, 서로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