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M: 메모리의 전원이 나가도 내용이 유지되는 소량의 부분, 전원이 켜지면 CPU가 ROM의 주소를 가리킴 loader는 하드디스크의 0번 섹터의 내용을 메모리에 올려 실행하라 명령 boot block은 파일 시스템에서 OS 커널의 위치를 찾아 메모리에 올려 실행하라 명령 N-SCAN으로 SCAN보다 대기시간을 조금 더 균일하게 함 여러 요청을 한꺼번에 묶어서 처리(merge)하여 효율성을 높이기도 함 프로세스 종료 시 필요없는 내용이기 때문에 공간보다는 속도 효율성이 더 중요 seek time 줄이는 것이 주요하므로 파일 시스템보다 훨씬 큰 단위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parity: 오류를 생겼는지 알 수 있고 복구할 수 있을 정도의 중복저장만 간략하게 해주는 기법 출처: https://core.ewha..
메모리(주소로 접근), 파일(이름으로 접근) reposition: 파일 내 포인터를 그 파일의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 (계속 연속적으로만 읽지 않을 수 있음) open root의 metadata 위치는 이미 알고 있어서 메모리에 올려놓고 root 파일에 있는 a의 metadata를 메모리에 올림 디렉토리 파일인 a의 metadata 정보로 a의 저장 위치로 접근해 그 안에 있는 b의 metadata를 메모리에 올림 read b의 저장 위치로 접근해 요청한 만큼의 데이터를 OS영역의 버퍼 캐시 공간에 저장 버퍼 캐시에 있는 데이터의 복사본을 사용자 메모리 영역에 저장 요청한 데이터가 버퍼 캐시에 존재하는 경우 CPU 판단 하에 디스크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복사하여 전달 A의 PCB에 파일 b의 meta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