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일

· CS/DB
고정된 길이라면 임의의 n번째 데이터의 시작점을 알기 쉽다 데이터가 삭제되었을 때 어떤 레코드나 그 위치로 대체될 수 있다 히프 화일, 순차 화일을 실제 DB에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실제로는 인덱스를 활용함 중복되는 키를 가지고 인덱스를 만들 수 있음 기본 키에 대해 화일이 정렬되어있다면 각 데이터 블록에서의 대표 키 값만 가지고도 인덱스를 만들 수 있다 희소(일부만 가지고 만듦) ↔ 밀집(모든 것을 가지고 만듦) 같은 탐색 키를 갖는 것들은 모여있기 때문에 해당 키로 검색된 데이터 주변에 범위 질의하기 유용하다 탐색 키 값에 따라 정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밀집 인덱스 형태로 만들어야 함 인덱스 엔트리가 많아지므로 접근 횟수가 증가해 느림 희소 인덱스 형태보다 느리다 출처: http://w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