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OS
17. Deadlocks 2
hjkim0502
2022. 3. 30. 18:10


- P0가 A를 하나만 요청해도(어떤 요청을 해도) 받아들이지 않고, P1이 필요자원 내에 어떤 요청을 해도 받아들임
- 즉, 항상 safe 상태를 지향하는 매우 보수적인 알고리즘이다
- deadlock은 매우 드문 현상이므로 위 알고리즘은 매우 비효율적(할당되지 않는 자원이 많다)



- deadlock을 일단 허용하기 때문에 최대 필요 자원을 조사하지 않음
- 그래프에서는 사이클이 있는지 확인
- 테이블에서는 낙관적으로 요청 자원이 없는 프로세스는 사용중인 자원을 반납할 것이라는 예상을 기반으로 한다
- 만약 P2가 자원 C를 하나 요청한 상황이라면 deadlock 상태


출처: https://core.ewha.ac.kr/publicview/C0101020140415131030840772?vmode=f